-
어스 어바이드(Earth Abides), 인류 없는 지구를 묻다Trend 2025. 4. 17. 23:24반응형
1949년 출간된 조지 R. 스튜어트(George R. Stewart)의 소설 『어스 어바이드(Earth Abides)』는 지금 다시 조명받는 SF 고전입니다. 전염병으로 인류 문명이 붕괴된 세계를 배경으로, 살아남은 한 남자의 시선을 통해 인간과 자연, 문명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작품입니다.
팬데믹 이후 인류의 방향을 고민하는 요즘, 이 책은 더욱 강한 울림을 전합니다.
줄거리 요약 – 인류 문명 붕괴 이후의 생존과 적응
이야기는 미국 캘리포니아 시에라 네바다 산맥에서 시작됩니다. 지리학자 이셔우드 윌리엄스(Ish)는 들판에서 연구 중 뱀에 물려 외딴 오두막에 머무르게 되는데, 그 사이 전 세계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인해 인류 대부분이 사망합니다.
산에서 내려온 그는 자신이 거의 유일한 생존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샌프란시스코 버클리로 돌아와 살아남은 사람들과 작은 공동체를 구성합니다. 그는 문명을 재건하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새로운 세대는 과거의 기술과 언어, 역사에 대한 관심을 잃어가고 문명은 점점 퇴색합니다.
등장인물 소개
- 이셔우드 윌리엄스 (Ish) – 주인공이자 지리학자. 문명의 의미를 고민하며 생존자들을 이끄는 인물입니다.
- 엠마 (Em) – 이셔우드의 동반자. 인종적 배경이 다양함을 보여주는 캐릭터로, 공동체의 정서적 중심입니다.
- 조이 (Joey) – 이셔우드의 아들. 아버지의 이상을 계승하지만, 공동체의 전염병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 잭 (Jack) – 이셔우드의 증손자이자 미래 세대의 상징으로, 공동체의 새로운 리더로 성장합니다.
반응형작품 속 핵심 주제
- 자연과 인간의 관계 – 인간이 사라진 후 자연이 회복되는 모습은 우리가 자연에 끼친 영향을 되돌아보게 합니다.
- 문명의 취약성 – 전염병 하나로 무너지는 현대 문명의 허약함, 그리고 그 문명을 지탱해온 지식의 연속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사회 규범의 재구성 – 법과 질서가 사라진 사회에서 새로운 도덕 기준과 문화가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보여줍니다.
『어스 어바이드』가 던지는 시사점
이 소설은 단순한 생존기를 넘어, 인간이 만든 문명이 얼마나 허약한지,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 지식과 언어, 문화조차 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합니다. 특히 Ish의 시선을 통해 인간 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의 길을 고민하게 만듭니다.
팬데믹 이후 우리가 맞이한 현실과 맞닿아 있는 점도 많아, 최근 들어 이 작품은 다시금 회자되고 있습니다. 고전임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통찰력과 철학적 깊이를 가진 작품으로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이 작품이 오늘날에도 중요한 이유
『어스 어바이드』는 단순히 과거의 고전이 아니라, 인류가 위기 상황에서 무엇을 잃고 무엇을 지켜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 그 자체입니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결국 사람과 공동체, 자연과의 조화가 문명의 뿌리라는 사실을 이 작품은 되새기게 합니다.
특히 팬데믹, 기후위기, 전쟁 등으로 불안정해진 현대 사회에서 이 작품이 주는 통찰은 더 이상 허구로만 느껴지지 않습니다. 고전을 통해 미래를 생각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마무리하며
『어스 어바이드』는 SF이자 철학이며, 동시에 생존 이후의 인류를 상상하게 하는 놀라운 작품입니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의 대표작으로, 스티븐 킹의 『스탠드』나 마이클 크라이튼의 『안드로메다 스트레인』 등에도 깊은 영향을 준 바 있습니다.
문명 이후의 세계를 상상해보고 싶은 분이라면,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한 번쯤 고민해보고 싶은 분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톡스 맞을까, 필러 맞을까? 차이점 총정리! (0) 2025.04.22 메이플스토리 환산 주스탯, 도대체 뭘까? (0) 2025.04.17 400년 전 허균이 백반집 사장이 됐다고? 드라마 '허식당' 등장인물 총정리 (2) 2025.04.17 일하는 방식의 진화, 4.5일 근무제가 주목받는 이유 (0) 2025.04.15 에어팟이 한쪽만 들리는 현상 - 집에서 해결하는 방법 (0) 2025.04.13